티스토리 뷰
2002.2.4. Mon.
난 꽤 논리 정연하고, 잘 이해되는 말로 된 생각을 좋아한다. 그것은 아마 생각을
하다보면 늘 그렇게 되는 "결론 없는 사유"에 대한 싫증이지 않나 생각된다.
논리가 정연하다는 것은, 모든 가능한 상황을 고려해서, 빈틈을 주지 않는 결론을
도출한 상황에 이른 것이라 정의하고 싶다. 그것은, 내가 프로그래머이기 때문에
흔히 갖게 되는 직업상 얻은 병(?)이라고 할 수도 있다.
논리와 직관의 문제에 있어서, 직관은 새로운 논리를, 또는 기존 논리의 빈틈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논리적인 사람만이라 할 수 없고, 직관적인
사람만이라 할 수 없다.
과학과 수학의 다른 점이라고 한다면, 과학은 "가능한" 모든 현상에 대해 수학의
논리를 빌린 것일 뿐, 생각할수 없고, 관찰되지 않은 모든 현상까지에 대해 수학의
논리를 빌린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사회과학이라는 것도 마찬가지다. 과학이라는
것이 자연세계를 벗어나, 인문, 사회, 경제 등의 전반에 사용되는 것은, "가능한"
모든 현상에 대해 수학의 논리를 빌렸기 때문이다. 수학의 논리란 산술식이 아니라,
가정과 증명을 통한 결론에 이르는 길을 기초부터 차근차근 세운 하나의 조직적인
거대한 산처럼 쌓여진 체계를 말한다.
내가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런 비슷한 조류를 통하여, 내가 담고 있는 조직에서도
사람들은 과학적 사고방식을 통하여, 서로 대화하며, 교류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비단, 내가 속해있는 조직만의 특성이 아니다. 사회적인 현상일 뿐.
누구든지 조직에 문제가 있음을 느낄 때는, 직관이 작용하는 것이고, 논리가 뒤따라
그 결론을 내고자한다. 그 결론이 힘 밖에 있는 것일 때, 그는 조직을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관계에 대한 "가능한" 모든 현상이 파악되고, 그것에 대해,
검증된 사실 위에서 해결책으로서의 논리를 제시하며, 그 논리를 조직에 강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만이, 리더로서의 자격을 가진다. 그 리더쉽이란, 그가 처한
위치에서 "가능한" 모든 논리를 제시하고 적용할 때 "발휘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나는 그런면에서 실패한 사람일까? 포기하려는 마음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내가
있는 조직을 오래 보아온 탓일까? 새로 들어 온 사람들의 의기양양함과 포부는
지금껏 있어온 나에게는 무모해 보이기까지 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그들이 무모한
것이아니라, 내가 무능한것을 뜻할 지도 모른다. 나는 과연 가능한 모든 방법에
대해 논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포기하는 것일까? 재밌는 게임은 과연 어디에 숨어
있을까? 내가 살기 위한 방편으로써 몸부림친뒤에 내린 결론이 과연 조직의 이탈이란
말인가?
일은 많이 하는 사람에게 계속 돌아가기 마련이다. 조직의 20%가 나머지 조직을
살린다는 말은 어쩌면, 우리같은 규모에서는 적용되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조직의
20%는 단지 사람 수의 20%를 말하는 것 같지는 않다. 엉성한 조직의 시스템 깊숙이
숨겨 있는, 그 조직 누구도 그 시스템 전체를 알지못할 경우, 그 조직이 하는 모든
행위의 20%만이 그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말이 될 수 있다.
내가 힘들어 하는 이유는 아마, 너무 정교한 시스템, 너무 완벽한 조직을 꿈꾸기
때문일까? 너저분하게 늘어 놓은 사업 아이템을, 아무도 완벽한 지휘를 꿈꾸지 않기
때문일까? 내가 지친것은, 규격화되지 않은 일처리 때문인지도 모른다.
내가 가지고 있는 프로그래머이기 때문에 갖게 된 직업상 얻은 병때문에, 논리적인
방식의 조직흐름이 없는 것을 내 온몸이 조금씩조금씩 거부해 온 것이다.
그 거부감이 때로는 업무표준화를 위해 문서를 만들기도 했고, 사업주체에 대한
정체성을 갖고자, 팀 업무를 다시 정하자는 회의를 마련하기도 했다. 물론 그들에게
나의 이런, 느슨한 조직에 대한 거부감을 말한것은 아니다. 나조차 몰랐으니까.
이제 말할 수 있다. 내가 꿈꾸는 조직에 대한 지휘권이 내게 없거나, 그
지휘권자에게 내 의견이 관철되지 않는 것이, 내 직업병적 사고방식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을. 사람들이 조직을 꿈꾸며, 조직의 수장자리에 앉는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시간이 그를 그자리에 앉혀 놓았거나, 돈벌 생각이 그 자리로 인도
했을 것이다. 재미없다. 그런 사람들의 사고방식은 "가능한" 모든 현상에 대해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으며, 지엽적인 것으로만 생각하는 체질이기 때문이다.
난 아직 완성되지 않은 조직 리더쉽에 대한 꿈을 기르고 있는 중일 뿐. 여기는
아니다.
난 꽤 논리 정연하고, 잘 이해되는 말로 된 생각을 좋아한다. 그것은 아마 생각을
하다보면 늘 그렇게 되는 "결론 없는 사유"에 대한 싫증이지 않나 생각된다.
논리가 정연하다는 것은, 모든 가능한 상황을 고려해서, 빈틈을 주지 않는 결론을
도출한 상황에 이른 것이라 정의하고 싶다. 그것은, 내가 프로그래머이기 때문에
흔히 갖게 되는 직업상 얻은 병(?)이라고 할 수도 있다.
논리와 직관의 문제에 있어서, 직관은 새로운 논리를, 또는 기존 논리의 빈틈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논리적인 사람만이라 할 수 없고, 직관적인
사람만이라 할 수 없다.
과학과 수학의 다른 점이라고 한다면, 과학은 "가능한" 모든 현상에 대해 수학의
논리를 빌린 것일 뿐, 생각할수 없고, 관찰되지 않은 모든 현상까지에 대해 수학의
논리를 빌린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사회과학이라는 것도 마찬가지다. 과학이라는
것이 자연세계를 벗어나, 인문, 사회, 경제 등의 전반에 사용되는 것은, "가능한"
모든 현상에 대해 수학의 논리를 빌렸기 때문이다. 수학의 논리란 산술식이 아니라,
가정과 증명을 통한 결론에 이르는 길을 기초부터 차근차근 세운 하나의 조직적인
거대한 산처럼 쌓여진 체계를 말한다.
내가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런 비슷한 조류를 통하여, 내가 담고 있는 조직에서도
사람들은 과학적 사고방식을 통하여, 서로 대화하며, 교류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비단, 내가 속해있는 조직만의 특성이 아니다. 사회적인 현상일 뿐.
누구든지 조직에 문제가 있음을 느낄 때는, 직관이 작용하는 것이고, 논리가 뒤따라
그 결론을 내고자한다. 그 결론이 힘 밖에 있는 것일 때, 그는 조직을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관계에 대한 "가능한" 모든 현상이 파악되고, 그것에 대해,
검증된 사실 위에서 해결책으로서의 논리를 제시하며, 그 논리를 조직에 강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만이, 리더로서의 자격을 가진다. 그 리더쉽이란, 그가 처한
위치에서 "가능한" 모든 논리를 제시하고 적용할 때 "발휘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나는 그런면에서 실패한 사람일까? 포기하려는 마음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내가
있는 조직을 오래 보아온 탓일까? 새로 들어 온 사람들의 의기양양함과 포부는
지금껏 있어온 나에게는 무모해 보이기까지 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그들이 무모한
것이아니라, 내가 무능한것을 뜻할 지도 모른다. 나는 과연 가능한 모든 방법에
대해 논리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포기하는 것일까? 재밌는 게임은 과연 어디에 숨어
있을까? 내가 살기 위한 방편으로써 몸부림친뒤에 내린 결론이 과연 조직의 이탈이란
말인가?
일은 많이 하는 사람에게 계속 돌아가기 마련이다. 조직의 20%가 나머지 조직을
살린다는 말은 어쩌면, 우리같은 규모에서는 적용되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조직의
20%는 단지 사람 수의 20%를 말하는 것 같지는 않다. 엉성한 조직의 시스템 깊숙이
숨겨 있는, 그 조직 누구도 그 시스템 전체를 알지못할 경우, 그 조직이 하는 모든
행위의 20%만이 그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말이 될 수 있다.
내가 힘들어 하는 이유는 아마, 너무 정교한 시스템, 너무 완벽한 조직을 꿈꾸기
때문일까? 너저분하게 늘어 놓은 사업 아이템을, 아무도 완벽한 지휘를 꿈꾸지 않기
때문일까? 내가 지친것은, 규격화되지 않은 일처리 때문인지도 모른다.
내가 가지고 있는 프로그래머이기 때문에 갖게 된 직업상 얻은 병때문에, 논리적인
방식의 조직흐름이 없는 것을 내 온몸이 조금씩조금씩 거부해 온 것이다.
그 거부감이 때로는 업무표준화를 위해 문서를 만들기도 했고, 사업주체에 대한
정체성을 갖고자, 팀 업무를 다시 정하자는 회의를 마련하기도 했다. 물론 그들에게
나의 이런, 느슨한 조직에 대한 거부감을 말한것은 아니다. 나조차 몰랐으니까.
이제 말할 수 있다. 내가 꿈꾸는 조직에 대한 지휘권이 내게 없거나, 그
지휘권자에게 내 의견이 관철되지 않는 것이, 내 직업병적 사고방식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을. 사람들이 조직을 꿈꾸며, 조직의 수장자리에 앉는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시간이 그를 그자리에 앉혀 놓았거나, 돈벌 생각이 그 자리로 인도
했을 것이다. 재미없다. 그런 사람들의 사고방식은 "가능한" 모든 현상에 대해
그다지 큰 관심을 보이지 않으며, 지엽적인 것으로만 생각하는 체질이기 때문이다.
난 아직 완성되지 않은 조직 리더쉽에 대한 꿈을 기르고 있는 중일 뿐. 여기는
아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acosx
- SSO
- 킹벤자민
- 수선화
- OpenID
- url
- writely
- nodejs
- Linux
- perl
- 퀴즈
- 클레로덴드럼
- VIM
- Tattertools plugin
- MySQL
- 대화
- Subversion
- 오픈소스
- SVN
- 구근
- tattertools
- 벤자민
- JavaScript
- 덴드롱
- ssh
- 디버깅
- 식물
- TCP/IP
- 커피
- BlogAP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