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체/잡생각

무제

Coolen 2015. 11. 19. 01:34

나는 가끔 상상해본다.

내가 알고 있는 것에 대하여.

(사실 국민학교 시절에도, 내가 아는 모든 것을 공책에 써 본 적이 있었다; 쓰다가 포기하긴 했지만)


내가 알고 있는 것에 대해 떠올리다보면, 항상 따라오는 생각은 미래엔 어떤 것들을 알게 될까

혹은 내가 사라지고 난 몇 백년뒤의 사람들의 지적인 수준은 어떠할까 생각하게 된다.


인간은 호모사피엔스사피엔스 종이 출현한 20만년전 이후로 유전적 성질은 변하지 않았다.

다른 말로하면, 20만년전 신생아를 현대로 데리고와서 길러도 지적인 능력은 현대인과 다를바 없다는 뜻이다.


관심이 있는 것은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세상에 대한 생각인데, 이것은 과거 사람들이 알고 있는 세상과

현대인이 알고 있는 세상이 다르듯, 미래 사람들이 알게 될 세상이 지금과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세상에 대한 인류 보편적인 이해를 잠시 생각하다보면,

20만년동안 유전적으로 같은 사람들이 각자 속해 있는 시대적 환경에 따라

그렇게도 세상은 다르게 인식돼 왔다는 것이다.

이 지점에서 자연스럽게 인간의 인식 메커니즘에 대한 관심으로 생각이 옮겨가게 된다.


얼마나 대단하길래 유전자에 박혀 있을 듯한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은 그대로인데, 내용은 다른 것들로 채워 왔을까.

아니, 또 앞으로 채울 수가 있을까.


1.

어떤 것이 이름을 얻어 다른 것과 구별된다.

그 어떤 것이란, 보편적인 것일 수도있고, 유일한 개별자일 수도 있다.

이름을 얻게되는 것에는 개념의 경계가 존재한다.

개념의 경계는 경계 너머 다른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개념의 표면을 2차원에 도식한다고하면, 무한 2차원 평면일까 닫힌 2차원인 구의 표면일까.

다른 말로하면, 개념의 경계는 다른 개념과 이어진 것일까 아니면 미지의 경계를 상정해야하는 것일까.


2.

어떤 경우는 관할한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추론이 발전한다.

어떤 경우는 추론을 하고나니 어떤 발견이 예견되어진다.


3.

인간의 개념의 확장은 관찰과 그 해석의 긴장속에서 일어난다.

어떤 개념은 관찰을 통해서 확장되거나 새로 추가되었고,

어떤 개념은 추론을 통해서 확장되거나 새로 추가되었다.


4.

어떤 영역에서의 무작위성, 무작위가 무작위가 아니게하는 이론의 출현.

이런 상황은 정밀도높은 관찰이라는 도구를 통해 해석하는 방법이다.

어떤 방법에서의 무작위성, 무작위가 무작위가 아니게하는 의도의 출현.

어떤 것을 추론하기 위해 도입하는 방법의 특이성은 그간의 시행착오속에서 버리고 남은 것들에 대한 체념에서 출발한다.


얼마나 빨리 처리해야하나....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