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 관리팀이 분리되어 있는 조직에서 개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일 것입니다.다국어 처리를 위해 개발자는 pot를 만들고, poEdit 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그룹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po file에 pot를 merge하여 작업을한다. - 즉, 다국어 처리 그룹은 merge의 개념을 알고 있다. 다국어 처리를 위해 개발자는 pot를 만들고, 이를 po file에 merge하여 나온 po file을 poEdit 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그룹에게 전달한다. - 즉, 다국어 처리 그룹은 번역만 주로한다. po file의 포맷은 단순히 msgid "I am Hojin"msgstr "나는 호진 입니다."와 같은 번역 텍스트의 나열일 뿐입니다.여기에 참조된 위치에 대한 정보가 주석으로 들어 있거나 여러 행으로 ..
개인적으로 Open Source 프로그램을 번역하는 일은 그 프로그램에 애정이 있어서 하는 일이므로, 즐겁고 나로 인해 영어로된 프로그램을 한글화 한다는 자긍심도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나 밥먹기 위해서 하는 일로 국제화된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은 이것과는 약간 슬픈(?) 현실이 있다. 지역화와 관련해서 지역 표시는 다음과 같은 표시방법을 따른다. 예를 들어 몇년전까지만해도 우리나라의 웹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지역표시를 가지고 있었다. ko_KR.euckr 이것은 한국어(ko)로 되어 있고, 지역(territory)이 한국(KR)이며, 문자 집합은 euckr(한글을 위한 확장 유닉스코드)이라는 뜻으로 언어_지역.문자집합 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뭔가 수정이 일어나면 뒤에 "@수정명칭" 형식으로 회사, 개인, 기..
내가 하는 번역중 가장 활발하게 일하는 것이 TortoiseSVN이다. 비록 번역이긴하지만 Open Source에 기여하고 있고, 나름 대로 feedback을 받으며, 내 활동의 일부를 도움받는다. feedback은 딱 한 사람으로부터 오는데, tdkim 씨이다. 이 자리를 빌어 꾸준히 피드백해주고 있어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이 분은, 시간날 때마다 TortoiseSVN의 nightly build를 받아다가 버그리포트도 활발히 하는 분인데, 재미를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에 그런 열정을 들이는 것이 이런일하는 재미아니겠는가. Tdkim! 제게 번역 교정 리포트하시는 것에 미안하게 생각하지 말아주시라. 맞닥드리지 않은 상황을 번역하는 것이 어려운것이 사실이고, 가끔 자동 번역 결과를 확인도 안하고 커..
- Total
- Today
- Yesterday
- Linux
- OpenID
- ssh
- 수선화
- VIM
- url
- 구근
- TCP/IP
- SVN
- 벤자민
- 덴드롱
- macosx
- 커피
- Subversion
- nodejs
- JavaScript
- MySQL
- perl
- 킹벤자민
- SSO
- 대화
- 식물
- 퀴즈
- 디버깅
- 오픈소스
- 클레로덴드럼
- BlogAPI
- Tattertools plugin
- writely
- tattertool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