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en.wikipedia.org/wiki/Universality_(philosophy) 이 링크는 보편자로 해석되는 철학용어인데, (흔히 보편자 논쟁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편자를 철학적인 주제에서 사용되는 예들을 보다보니 친숙한 단어들이 보인다. 논리학이나 형이상학에서 쓰이는 용어들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설계에 쓰이는 단어와 겹치는 것들이 많다. 단어만 겹치는 것이 아니라 용도도 비슷하다. 그만큼 무형의 세계를 모델링하고 창조하고, 재사용하는 관점에서 보면 프로그래머는 철학자들이다. instancetypepropertyrelationconcreteinhereontologyclass 저 위키피디어에서 보편자를 설명하기 위해 쓰인단어만하더래도 데이터 모델링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들이 그대로 사용되며,..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내가 가장 익숙한 방법으로, 너무 깊이 생각하지 말고 행동하면 된다. 사업하는 사람들의 얘기지만, 이것은 뭔가를 배울 때도 마찬가지이고, 궁극적인 인간의 질문에 답을 찾아가는 길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철학을 공부하거나 예술이나 미학을 공부하려한다해도, 누군가 차려놓은 연역적인 커리큘럼을 따라 갈 수도 있지만, 힘들고 지치고 결정적으로 재미가 없다.멀리 돌아가도 설사 잘못이해하고 나아가도, 가장 익숙한 방법으로, 생각해보 건데 가장 그럴싸한 방법대로 천천히 가는 것이 오래 갈 수 있는 방법이다.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우주의 궁극적인 답 42를 찾는 길도 -- 못찾아도 무슨 상관인가 --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에서, 가장 익숙한 방법으로 천천히 가는 것이다. -- 요즘 실서..
가끔, 정말 내가 생각해도 이상하리만치 가끔, 난 잘 살아가고 있는지 스스로에게 묻는다. 가끔이라는 표현을 일부러 한 것은 그것이 나에게 솔직한 빈도이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은 늘 형식적인 답이 하나 떠오르고, 그 답을 외면해야 나 자신을 바로 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그 상태가 되어도 나에겐 답할 수 있는 정리된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 다시한 번 가끔이라는 표현을 쓰는 정도의 솔직함으로 그 상태에서 할 수 있는 말을 생각하면, 이 정도의 답이 떠오른다. "내 인생의 흐름에 따라 난 몇몇 중요한 선택을 했고, 그 선택을 후회하지 않으며, 돌아가야하는 압박이 없으므로 난 잘 살아가고 있어." 난 불만이 없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불만 투성이이며, 그 불만은 해결보다는 외면이라는 방법으로 강도를 ..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가 18세기 Taylor에 의해 고안된 방식인 줄 알았는데, 먼저 발견한 사람은 스코틀랜드 James Gregory라는 17세기의 천재적인 학자였다. 테일러 급수는 sin, cos, exp 등의 초월함수의 정확한 값을 최대한 근사하게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인데 (무식하게 그래프를 선으로 그은 다음 자로 측정하는 것이 아닌), 이런 접근이 가능해지자, 그 유명한 오일러의 공식이라 알려져 있는 이라는 식이 유도된다. 테일러 급수는 함수를 X에 대한 고차 방정식으로 표현가능하다고 할 때, 고차 방정식은 X=0일때 상수항만 남게 되고, 함수를 미분할 때마다 모든 차수는 1씩 내려오는데 이 때, 상수항은 사라지며, 일차항이 상수로 내려오는 성질을 이용하며, X가 무한대로 갈때 ..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Script
- BlogAPI
- url
- 오픈소스
- VIM
- 대화
- tattertools
- 덴드롱
- 클레로덴드럼
- SVN
- 구근
- 수선화
- 퀴즈
- 디버깅
- ssh
- 식물
- SSO
- writely
- nodejs
- Tattertools plugin
- perl
- MySQL
- 벤자민
- TCP/IP
- Linux
- 커피
- 킹벤자민
- OpenID
- Subversion
- macos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