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회사에서는 우분투에 KVM 으로 윈도우를 돌리고, 집에서는 Windows XP에 Virtual PC를 통해서 돌립니다. 근데, Virtual PC 는 내외부가 Windows고 Virtual PC 내부에도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깔아주니, 클립보드 이동은 물론이고, 파일 복사는 떨어뜨리기로 되고, 마우스는 막힘없이 들락날락하고... (우분투:KVM:MS-Windows) 조합보다 (MS-Windows:Virtual PC:MS-Windows) 조합이 훨씬 사용성이 좋습니다.
인터넷 접속 제어인터넷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의 핵심에 웹 브라우져가 있다고 가정하고 만드는 보안 장비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주 타겟은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을 제한하는 것인데, 모든 웹 트래픽을 사용자 인증을 거치도록 리다이렉션 시킨다음 인증되고 나면, 해당 브라우저에 cookie나 혹은 auth header등을 설정하게 만들거나 해당 IP를 등록하여 이후의 인터넷 접속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됩니다. 문제 발생아, 그런데 여기에서 웹브라우저가 아닌 것들과 문제가 발생합니다. 저희 회사의 제품에서도 80번 포트를 이용한 HTTP로 업데이트를 하고 있습니다만, 이것은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라이브러리만 HTTP를 이용하는 수준으로 개발되기 때문입니다.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어플리케..
아침에 버스를 타고 오다가 어떤 직장 동료 사이인 남녀가 아침에 출근하면서 하는 얘기를 엿(?)들은 얘기가 있습니다. 대개의 줄거리는, 여자는 대략 30대 초중반인것 같고, 지난 주말에 나이가 보다 많은 남자를 하나 소개 받았는데, 처음부터 만나고 싶지 않았지만, 친구가 지금 누구를 고를 처지냐면서 굉장히 화를 내는 통에 만날 수 밖에 없었다는 것과, 만나 보니 이제 공무원이 되어 기반이 너무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외에 여러가지 말이 있었지만, 전 그 여자의 마음이 이해가 되기도 했습니다. 또 나이와 상관없이 사람이 좋으면 되는 것 아니냐라는 생각도 스쳐지나가면서 남자가 인간적인 매력이 없었다든지, 아니면 이제 여자의 나이에서는 그런 사랑을 만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더..
제가 생각하는게 이상한가요? 검색은 검색엔진에서 하고, 정확한 정보는 정보 생산자에 가서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습관이 있어야하는데 이렇죠실제 정보/지식 생산자는 따로 있는데 검색엔진을 가진 포털 내부에서도 생산이 된다..정보 생산자들의 홈페이지 robots.txt에는 죄다 검색엔진의 인덱싱을 허용하지 않는 설정을 해두고 있다.그런 정보 생산자들의 사이트는 검색란이 있어도 원하는게 나오지 않을 때가 있다.사람들은 이미, 네이버나 다음의 시각 구조에 익숙해서, 주민자치센터(동사무소)의 홈페이지에서 뭔가를 찾는 것을 너무 어색해 한다.즉, 그런 사이트에서 정보 찾기란 UI도 익숙지 않을 뿐더러 일반 검색엔진이나 사이트 자체 검색엔진에서도 쉽게 찾을 수 없는 이상한 상황인 것이다. 그런데 그 사이트 어딘가에 ..
블로그, 그냥 가볍게 쓸까보다.
가독성에디터에서 탭이라는 것은 정말 C 언어에서의 "{"의 위치만큼이나 논란의 대상입니다. 왜냐면 가독성 같은 문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죠.탭 사이즈의 디폴트 값은 8 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 크기가 왜 문제를 일으킬까요? 제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하자면, 두 가지입니다.모니터가 작았습니다.자동들여쓰기가 안되었습니다.모니터의 크기가 작던 시절 8 칸을 옮긴다는 것은 화면상에 공백을 가져오는 요소를 가져옵니다. 이것은 모니터의 오른쪽 반에만 코드가 나오는 형국이 발생하게 됩니다.들여쓰기를 많이 해야하는 상황에서, 지금처럼 엔터만 누르면 되는 자동 들여쓰기가 안되는 상황에서 매 행마다 공백을 넣어야하는 작업을 탭으로 했습니다. 이런 경우에서도 미세 조정을 하고 싶은 생각이 들게 되었습..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을 공부하려면, 많은 컴퓨터가 동시에 필요하다. 적어도 매니저 서버가 있어야하고 공유 파일시스템이 있어야하는데, 이런거 생각하다보면,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가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왜일까? PC를 감염시킨다음 원격에서 제어해서 원하는 서버를 공격하는 형태란,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이루어진 분산처리의 모습아닌가? 설마, DDoS를 병철처리 연구 목적으로 응용하는 변명을 하는 놈들은 없겠지? -- http://staff.washington.edu/dittrich/misc/ddos
아래한글을 오픈소스로 해달라는것도 아니고, MS워드의 OOXML 형식처럼,공개를 좀 해주시었으면 좋겠다. 많은 사람들이 줄기차게 얘기해 오는 것을 다시 한 번, 말하고 싶은 것은, 오늘도 정보 사이트 좀 보다가 (정부 사이트도 점점 firefox(on linux)로 접근가능해지고 있는 마당에) 거기에 올라와 있는 문서를 대체 쉽게 읽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쉽게 포기 해서 그렇다. 나이가 드니, 이런게다 귀찮네. 혹시, 내부에서 조차 문서화 되어 있지 않아서 그런건 아니겠......
시간이 흐르다보니, C99이 나온지도 벌써 10년이 돼가고, 초창기에는 gcc 구현정도표를 보면서 빨리 나와라 기대했었는데, 왠만한 컴파일러는 거의 다 지원하는 듯하니, 한 5년전만해도 C89 문법이 지켜야할 표준이었는데, 이젠 내 마음속에서도 어느덧 느슨(?)해져 있음을 보게 됩니다. 1년 정도 뒤 C++ 새 표준이 나오게 되면, 비슷한 짓(?)을 하고 있을 지도 모르겠군요. 암튼 요즘은 C99 표준으로 코딩하나요들? 아직도 C는 /*, */ 로 쓰고 C++는 // 을 쓰라는 둥, 변수 선언은 함수 위로 모으라는 둥 이런거 강제하나...
- Total
- Today
- Yesterday
- nodejs
- 퀴즈
- 디버깅
- 대화
- tattertools
- writely
- SVN
- 킹벤자민
- SSO
- BlogAPI
- 덴드롱
- ssh
- url
- Subversion
- 커피
- MySQL
- TCP/IP
- perl
- 식물
- 벤자민
- OpenID
- 클레로덴드럼
- 오픈소스
- macosx
- 수선화
- Tattertools plugin
- Linux
- VIM
- JavaScript
- 구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