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계에 관심이 있다보니 얼마전에 든 생각이 있어 정리해보고자한다. 일부 나라는 화씨(Fahrenheit)를 과학자들은 캘빈(Kelvin)을 사용한다. 섭씨라는 것은 온도를 나타낼때, 물분자의 상태변화에 따라서 액체인 구간에 해당하는 온도의 시작과 끝을 인간이 계산하기 쉽게 100분할하여 만든 것인데, 그 많은 분자중에 물이라는 것, 이 얼마나 인간적인 방법이냐. 우리 주위에 지척으로 널려있고, 우리몸의 대부분이며, 얼면 얼었다고 좋아하고, 눈온다고 좋아하고, 비온다고 강의 안하고... 물과 관련되어 우리 생활의 척도를 나타내는 온도라는 개념은 알고보면 전 우주의 상상할 수 없는 온도 범위의 아주 조그마한 범위에서 우리는 웃고 좋아라하고 슬퍼하고 절망하기도 한다. 온도는 섭씨 -273도 이하로는 내려갈 ..
스도쿠라는 퍼즐이 있다. 원리는 9*9 로 되어 있는 칸에 미리 주어진 것외에 나머지 숫자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채우는 것이다. 1. 하나의 숫자는 하나의 가로줄에 한 번만 나타나야한다. 2. 하나의 숫자는 하나의 세로줄에 한 번만 나타나야한다. 3. 하나의 숫자는 3*3으로 나뉘는 칸에 한 번만 나타나야한다. 수를 결정할 때, 직관이나 확률로는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논리 퍼즐이라고하는데, 그 난이도에 따라 easy, expert, hard, deadly 등 몇단계로 이루어져있다. 난이도에 따라서 푸는데 대개 20 분 ~ 60 분정도 소요된다. 책을사서 푸는데 한 석 달을 지하철을 타고다니면서, 120개 넘게 풀고나니 몇가지 요령을 알게 되었다. 여기에 요령을 소개하는 것은 그렇고, 이 퍼즐에 대한..
이른바 유틸리티라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이것들은 간단한 기능만을 하는 프로그램들을 말하는데, 전통적인 Unix에는 정말이지 잡다한 유틸리티들이 있다. 예를 들면, "y" 라는 프로그램은 단지 화면에 y를 한 줄에 하나씩만 출력할 따름이며, "true" 라는 프로그램은 항상 정상종료만하는 프로그램, "false"라는 프로그램은 항상 오류 종료만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런 유틸리티는 처음 나올때부터 조금씩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게 되고, 때에 따라 개발자가 중도 포기하면, 다른 사람이 이어가거나 아니면 아예 명령어 구문만 같은 다른 프로그램을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다양한 버전의 같은 일을 하는 유틸리티가 존재하는데, 그 중 GNU에서 다시 만들어 배포하는 유틸리티들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GNU에서 배..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내 생각으로 표현하는 것에 불과하니 기대를 많이 갖지 말고 읽으시라. 두 종류의 선택이 있다. 1. 하나는 수동적인 선택. 2. 다른 하나는 능동적인 선택. 선택이란 판단의 결과에 따른 행동을 말하는 것인데, 배우는 처지에 있는 사람은 알게 모르게, 필연적으로 능동적인 선택을 더 많이 하게되며,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가면, 즉,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살게 되면 수동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가 더 많게 된다. 그러나, 수동적인 선택이 많게 되는 시절에 능동적인 선택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것이 선택이 가지고 있는 비밀이다.
내가 관리하던 사이트가 해킹당한 사실과, 겨우내내 안타던 내 자전거가 도난당할 뻔한 사실을 한 날에 알게 되었을 때의 기분 알겠는가? 나의 3/1일은 가족 모임이 있어 기쁜날인 동시에 저 일들로 인해 저녁 때의 기분이 별로 안좋았다. 사람들도 잘 안들어오는 흉가가 되어 가는 사이트라 phpbb 버전업을 게을리 했더니 대번에 해킹당하였다는 대문짝만한 걸게그림으로 바꿔놓이는 일을 당하질 않나. 볼 일이 있어 자전거를 타고 가려고 자전거 보관소에 가보았더니 글쎄, 번호 자물쇠의 플라스틱 번호 돌림쇠가 완전히 망가져있고, 뭔가로 두드린 자욱이 상당히 많이 나있다. 포기하고 그냥 둔 거 같은데, 불과 2 주전에만 해도 멀쩡히 있는 걸 봤건만, 기분 상당히 안좋다. 사이트는 어떻게 복구해보겠는데, 자전거는 나 조차..
난 왠만하면 베스트 극장을 안볼려고 노력을 한다. 그러나 베스트 극장을 금요일밤에 하는것 까지도 알지만, 채널을 돌리다가 멈추게하는 것은 여전히 베스트 극장이다. 지난주 금요일의 베스트 극장은 주인공 남자가 고등학교에 들어가면서 보게된 한 여자를 짝사랑하는 얘기인데, 그녀가 좋아할 만한 것에 아주 몰두하게 되어 친구들한테 또는 축제때 훌륭한 솜씨를 보여주는 독한 녀석이다. 짝사랑에게 접근(?)했다가 우리 대학가서 생각해도 늦지 않잖냐는 말에 반에서 40 등하던애가 1년 내내 공부해서 전교 10등안에 드는 우등생이 되는 기염(!)을 토한다. 그 주위에 있던 다른 여자애는 그 애의 이런 면들이 좋아 3년 내내 주위에 있지만 끝내는 이뤄지지 않는다. 그 두 여자와 더 이상의 발전이 없는 결말로 끝나는 베스트 ..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 3 NNTP: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FTP: File Transfer Protocol HTTP는 다른 프로토콜보다 상당히 젊다. 만들어진 시기를 RFC 등록일로 조사해보니 다음과 같다. FTP: RFC 765 - 1980 SMTP: RFC 821 - 1982 POP: RFC 918 - 1984 NNTP: RFC 977 - 1986 HTTP: RFC 1945 - 1996 HTTP의 경우 RFC 1945에서도 기술된 바와 같이 1990년부터 만들어져 사용되어 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른 프로토콜..
많은 사이트에서 Web 2.0에 대해서 말하므로, 여기에서 Web 2.0을 말하는 것은 짧은 지식에 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므로,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Web 2.0에 대해 못에 귀가 박히도록(?) 들었다 가정하고 얘기 좀 해볼까한다. Web 2.0 생존 법칙에 대한 내 생각은 많은 사람들이 오~할 만한 철학이 있느냐 이다. 철학이라는 식상한 단어를 선택한 이유는, 이보다 더 적절한 표현이 없을 것 같아서이다. 그런데 이 철학이라는 것은 내가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도 무의식중에 집중하는 것이다. 내가 Web 2.0을 계속 주시하는 이유도 이때문이 아닐까한다. 성공하는 서비스에는 반드시 그만의 철학이 있다. 그것도 저혼자 잘난 철학이 아니라 인터넷 유저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철학이다. 철학은 남들..
최근 subversion 프로젝트에서 메인 개발자에 의한 code fork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하나 있다. Subversion with space라는 프로젝트인데, 이 코드 포크는 단지 함수호출시 사용되는 괄호 앞에 공백을 두는 것이 좋으냐를 가지고 일어난 것인데, 이것 때문에 수많은 커미터들의 코드를 예쁘게(?) 만든뒤 새로운 코드 저장소에 수동으로 반영한다는 것이다. 아직 소스에 접근이 불가능하여 릴리즈는 된 것 같지는 않다. 아니면, 이들이 재미로 하고 있던지.. 관련 메일링리스트는 * [VOTE] space before paren policy * [FORK] Subversion-With-Space 흔히, 커미터들에게 코드 작성 규칙을 엄격히 하고, 그 규칙대로 되어 있지 않은 코드를 수정해서 ..
2월 15일 어제 하루를 쉬면서 화분도 구입하고, TV 채널을 돌리다가 저스트 비지팅(Just visiting)이라는 한 번 본 영화도 보고, 마지막으로 한 것이 5년 전에 받은 나폴레옹이 앞발을 든 말을 타고 손가락을 높이 들고 있는 그림을 맞추기 시작했다. 둔촌동에 살 때, 지민이가 태어난 지 얼마 안되어서 양용철이 집에 방문하면서 선물한 것인데, 그 얼마전 다른 1000 조각을 맞추다가 포기한 경험이 있어서 아예 장롱에 넣어 뒀었던 것이다. 밤 아홉시쯤 지민이랑 같이 시작했는데, 지민이는 곧 자러 들어갔고, 나 혼자 남아서 씨름을 하였다. 일단 1000 조각은 그림이 넓어서 머리가 아파온다. 왜일까? 내가 평소에 얼마나 안쓰는 두뇌를 사용하길래 이러는 것일까? 이걸 자주 하면 두뇌가 좀더 입체적으로..
- Total
- Today
- Yesterday
- 구근
- perl
- nodejs
- 킹벤자민
- VIM
- BlogAPI
- macosx
- 수선화
- 오픈소스
- 벤자민
- SVN
- JavaScript
- MySQL
- OpenID
- 디버깅
- Linux
- tattertools
- 식물
- ssh
- Subversion
- 클레로덴드럼
- 대화
- TCP/IP
- SSO
- 커피
- url
- Tattertools plugin
- writely
- 퀴즈
- 덴드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