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구로서의 컴퓨터는 그 도구를 학습하여 익숙한 사람들에게만 가치가 살아나지만, 도구가 아닌 익숙한 사용자 언터페이스의 연장으로서의 컴퓨터는 곧 미래의 모습이 된다. 모든 기능은 처음엔 일부 사용자들의 감탄을 자아낸다. 그 기능이 조금 불편한 인터페이스임에도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으면, 익숙한 인터페이스로 다시 바뀌는 것은 모든 컴퓨터 산업의 로망아닌가? 광고가 검색 포털에 붙는 것을 처음엔 무료니까 당연한거라 생각했다. 그러다가 애드센스는 광고주와 광고판 설치자에게 모두 도움을 주었다. 어쩌면 이용자에게도 불필요한 것 보다 더 관심있는 내용이라 도움이 되었을지 모른다. 검색어 추천 기능은 애매한 키워드에 대한 기억을 회상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자기가 입력하는 키워드가 분석당한다는 기분을..
난, 각자의 자리에서 자기 일을 잘하면 돼... 라는 말을 싫어한다. 되게 싫어한다. 나아가 그런 분위기가 감지되면 속에선 뭔가를 참아내느라 이를 살짝 물어야한다. 뭐, 오해할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하지만, 그런 말을 들으면, 사농공상 계급사회가 유지되는 방법으로 들리고, 자기 분야가 아니면 말도 꺼내지 못하게 하고, 나이 어린 사람이 나이 든 사람이 인생에 대한 주제로 얘기하는게 버릇없이 들리며, 뭐든 말없이 묵묵히 가는게 최고라는 생각을 심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에 비해 내 관심은 너무 다양하며, 내 의심은 그 깊이를 모르며, 내 자유의 벗어남은 한계를 모른다. 어찌 내 자리라는 게 있으며, 어찌 내 위치에서의 일이라는게 규정될 수 있다는 말인가.
내 지식 수준이 딱, 20세기 초반의 최소의 공리 체계를 찾아 그 위에 세상의 지식을 쌓아가려고 하는 것 같다. 아직 괴델의 증명을 뒤엎을 후임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이긴하지만, 내 수준이 누굴 따라갈 수 있을까. 아직도 괴델이 내게 어려운 것은, 세상은 그의 숫자들이 세상의 언어와 형식을 기호화하였지만, 이미 기호화 되어 내 기존의 언어체계를 벗어나는 순간, 다른 세상의 말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난 아직 내 논리의 언어를 다 다듬지도 못했는데, 그것을 숫자화 시켜버리고 증명의 전개 방식을 다른 식으로 전개시키다니. 나쁜 사람.
내가 조직 생활에서 가장 보기 싫은 부분은, 말을 하는 사람의 중요도와 듣는 사람이 판단하는 그 말의 중요도가 다름에도 자신이 중요한 것을 한 번의 설명으로 다 전달될 것이라 믿는(?) 상황이다. 그것은 심지어, "이것은 정말 중요한 것입니다" 라는 말로 시작하는 화법에 있어서도, 듣는 사람은 중요하다는 느낌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그런 상황이 잘 전달되려면,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그 대화 외의 부분에 있어서 신뢰하는 정도가 쌓여서, 미묘한 뉘앙스와 말외의 감정표현이 전달되는 관계여야하기 때문이다. 내가 몇번의 그러한 일들을 경험하고, 또는 은연중에 그러하리라 판단되는 간접경험을 통해서 내린 결론은, 내 주위 사람들에게 특히나 내 말을 들어 줬으면 하는 사람들에게는 인간적인 신뢰와..
- Total
- Today
- Yesterday
- nodejs
- url
- Tattertools plugin
- 클레로덴드럼
- OpenID
- perl
- writely
- 커피
- 오픈소스
- 벤자민
- TCP/IP
- 구근
- BlogAPI
- tattertools
- 수선화
- ssh
- 퀴즈
- VIM
- 대화
- Subversion
- JavaScript
- Linux
- SSO
- 디버깅
- SVN
- 덴드롱
- MySQL
- macosx
- 식물
- 킹벤자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